나리타산 신쇼지 절과 이치카와 단주로의 인연

하나 초대·2대째 ‘나리타야’의 시작

초대 단주로의 초상

에도 가부키의 제일인자인 초대 단주로의 소망

가부키 무대에 ‘시바라쿠’와 ‘나루카미’로 대표되는 용맹스러운 연출양식을 도입해 인기를 얻은 초대 단주로. 그러나 대를 이을 자식을 보지 못해, 나리타산의 당시 본당인 야쿠시도에서 일심으로 아이를 점지해 달라고 기원합니다. 그러자 경사스럽게도 기다리던 장남을 얻게 되었습니다.

부동님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부자가 연기하는 <용사 곤겐소가>

초대 단주로가 나카무라 좌에서 부자가 공연한 <용사 곤겐소가>는, 부동님께 올린 기원이 성취되어 장남을 얻은 것에 감사를 표한 무대로, 부동명왕을 테마로 한 최초의 가부키였습니다. 이 무대가 엄청난 인기를 얻은 것에 감사하여 나리타산에 신령으로 모실 큰 거울을 봉납했습니다. 또한 이 공연을 계기로 이치카와 가(家)는 ‘나리타야’라는 옥호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나리타산의 에도 출개장의 시작, 갈채를 받은 <분신 부동>

나리타산이 에도 후카가와에서 실시한 최초의 출개장과 같은 시기에, 초대가 태장계 부동, 2대째가 금강계 부동을 연기한 <나리타산 분신 부동>이라는 가부키가 대단한 인기를 얻습니다. 나리타야 이치카와 단주로의 깊은 귀의와 부동님의 영험이 에도 전역에 널리 알려진 순간이었습니다.

나리타 부동님이 점지해 주신 아이로 알려진 2대째

2대째 단주로가 열 살에 첫 무대를 밟고 아역의 초석을 만듭니다. 아버지의 죽음으로 열일곱 살의 젊은 나이로 단주로의 이름을 이어 받습니다. 용맹스러운 동작부터 스케로쿠 같은 연애 장면까지 훌륭하게 연기해 ‘나리타 부동님이 점지해 주신 아이’라는 칭찬을 받았습니다.

나리타산 부동님께 기원을 올려 병이 치유되다

초대와 2대째가 봉납한 큰 거울

아버지 못지 않게 깊은 부동존 신앙을 가진 2대째는 단주로의 이름을 계승한 해에 나리타산에서 단식 수행을 하여 연기의 향상을 기원했습니다. 또한 눈병이나 난치병에 걸렸을 때도 본존님께 빌어 치유했다는 영험한 이야기가 많이 있습니다.

둘 7대째·8대째와<미마스 액당>

7대째와 8대째가 함께 공연한 권진장
7대째가 연기하는 스케로쿠

에도 가부키 최고의 인기 7대째 단주로의 아이를 점지해 달라는 기원

열 살에 단주로의 이름을 계승한 7대째는 최고의 명배우라는 평판으로 대단한 인기를 누렸습니다. 유명한 가부키 십팔번을 제정하여 가부키를 중흥시킨 장본인으로 평가 받던 7대째 또한 자식이 많기는 했지만 아들을 보지 못하여 나리타산 부동님께 아이를 점지해 달라고 기원을 드렸습니다.

부동님의 은혜로 에도 시대 마지막 단주로가 태어나다

7대째가 부동님께 아이를 점지해 달라는 기원이 성취되어 대망의 후계자가 태어납니다. 그 기쁨은 태어난 다음 달에 무대에서 아이를 선보일 정도였습니다. 열 살에 8대째로서 단주로의 이름을 이어 받아 에도 시대의 마지막 단주로가 됩니다. 아름다운 용모의 미남 배우로 인기를 모읍니다.

에도에서 추방된 아버지를 구하려고 부동님께 기원하는 8대째

덴포의 개혁으로 7대째의 호사스런 생활이 금지령에 저촉되어 에도 십리 사방 추방의 처분을 받게 됩니다. 이후 8년이나 에도를 떠나 있게 된 7대째를 나리타산에서는 엔메이인 절에 살게 하고 숨겨 줍니다. 8대째는 부동님께 아버지의 석방을 기원하였고, 1849년 12월 마침내 아버지의 추방 처분이 풀립니다. 이 효행은 멀리까지 평판을 자자하여 8대째의 인기는 점점 더해 갔습니다.

7대째 단주로

직접 접대를 하는 <접대소>

*2016년 5월 31일까지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7대째는 천 냥이라는 거액을 봉납하여 미마스 액당을 기부. 액당 정면에 <접대소>라고 자필로 쓴 간판을 걸고 직접 다과로 접대를 했습니다.

직접 봉납한 7대째의 석상

7대째는 추방령이 해제되어 에도로 돌아오게 되자, 부동님의 은혜라고 여기고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등신대의 석상으로 조각하게 하여 봉납합니다.

부동님을 향한 독실한 신앙

부동님에 대한 믿음이 특히 깊었던 7대째는 액당이나 석상 외에도 물건들을 봉납합니다. 그것은 부동님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었습니다.

셋 가부키로 보는 부동존 신앙

9대째가 연기하는 부동
범자가 들어간 옷 ‘미즈고로모’
7대째가 연기하는 벤케이

부동의 미에

가부키에는 ‘미에’라는 연기가 있습니다. 배우의 연기가 절정에 달했을 때 얼굴 표정과 포즈를 그대로 하고, 잠시 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는 것을 ‘미에’라고 합니다. 부동님의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 가부키에 나타난 것이 바로 이 ‘미에’입니다. 2대째가 자작한 가부키<부동>에서 연기한 ‘부동의 미에’는 그야말로 미에 중의 미에였습니다.

2대째 이치카와 단주로가 연기한<부동>의 무대

2대째가 무대에서 연기하는 부동님은 ‘부동의 미에’라는 표현이 유명했습니다. 너무 많은 인기에 ‘부동의 미에’로 누군가가 자신을 노려보면 온갖 병이 낫는다는 소문이 돌면서 에도 전역으로 부동존 신앙이 퍼져 나갑니다.

현대에도 계속되는 가예

‘부동의 미에’는 가부키계에서 이치카와 가(家)에만 허용된 가예(家藝)입니다. 미에 자세에는 부동님의 정신이 깃들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같은 이치카와 가에 전해지는 ‘니라미’는 사악함을 물리치는 부동님의 영덕을 표현한 것입니다. 노려본다는 뜻의 ‘니라미’ 표정은 역대 단주로의 부동님을 향한 깊은 믿음의 증표입니다.

벤케이 의상에는 부동님의 범자가 디자인된다

9대째 단주로는<권진장>에 나오는 벤케이의 의상을 범자가 박힌 미즈고로모로 합니다. 이 의상은 부동님을 나타내는 범자가 금실로 바느질되어 있습니다.

부동님의 화신으로서의<권진장의 벤케이>

에도 시대의 가부키 무대가 한 장의 그림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 그림에는 부동명왕과 벤케이가 일체가 되어 그려져 있습니다. 수도자의 모습을 한 벤케이는 부동님의 모습으로서 예로부터 신앙되었습니다. 가부키 무대에서 볼 수 있는 많은 연기가 이치카와 가(家)의 부동존 신앙에서 태어납니다.